손주돌봄수당이란?
서울시 손주돌봄수당(서울형 아이돌봄비)은 조부모 또는 친인척(4촌 이내)이 24~36개월 손주를 돌볼 경우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 맞벌이 가정 및 한부모 가정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된 정책으로, 최대 월 6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.
(최대 월 60만원 혜택) 소진되기 전, 서두르세요!
2025 서울시 손주돌봄수당 지원 대상 & 조건

신청 가능 대상: 서울시에 거주하는 가정
✔️ 손주의 연령: 24~36개월
✔️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 (2025년 기준, 4인 가구 월 9,147,000원 이하)
✔️ 손주를 돌보는 조부모 또는 4촌 이내 친인척
✔️ 월 40시간 이상 돌봄 제공 필수
주의사항
- 어린이집 및 유치원과 병행할 경우, 보육시간 외의 돌봄 시간만 인정
- 심야(22시~06시) 돌봄은 인정되지 않음
- 맞벌이가 아니어도 한부모 가정, 다자녀 가정은 신청 가능!
💰 지원 금액 및 지급 방식

친인척(조부모) 돌봄 지원금
- 1명 돌봄: 월 최대 30만 원
- 2명 돌봄: 월 최대 45만 원
- 3명 이상 돌봄: 월 최대 60만 원
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바우처 지원 (서울시 지정 기관 이용 시)
- 동일한 지원금만큼 바우처 지급
- 예: 월 30만 원 상당 서비스 이용 가능
민간 아이돌봄 서비스 기관 예시
- 맘시터 ☎️ 02-2135-1384
- 자란다 ☎️ 02-574-0128
- 우리동네돌봄히어로 ☎️ 02-6232-0323
중복 지원 가능 여부 영아수당(24개월 미만)과는 중복 지원 불가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 계층은 추가 지원 가능
✅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과 병행 가능 (단, 기본보육시간 제외)
📅 신청 방법 및 제출 서류
📌 신청 기간: 손주가 23개월째 되는 달 1~15일 사이
🔹 온라인 신청 방법
- 서울 몽땅정보 만능키 접속
- 회원가입 후 ‘손주돌봄수당’ 신청 메뉴 선택
-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업로드
🏢 방문 신청 방법
-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
- 신청서 작성 후 서류 제출
📑 제출 서류
- 손주돌봄수당 신청서
- 가족관계증명서
- 조부모(신청자) 신분증 사본
- 부모의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
- 조부모 통장 사본
- 양육 확인서(부모-조부모 간 합의서)
📢 추가 TIP
- 건강보험료 기준 초과 시 신청 불가
- QR코드 인증 방식으로 돌봄 활동 인증 필수
👀 실사용자 후기 & 현실적인 활용법
📢 박 할머니(68세)의 후기
“맞벌이하는 아들 부부 대신 손주를 봐주는데, 생활비 부담이 컸어요. 손주돌봄수당 덕분에 경제적 도움을 받고, 손주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어 좋아요! QR코드 인증 방식도 간편해서 어렵지 않아요.”
📢 최 씨(한부모, 35세)의 후기
“직장 때문에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았는데, 부모님께 도움을 받으며 지원금까지 받을 수 있어 정말 유용해요.”
마무리 – 손주돌봄수당 신청, 놓치지 마세요!
서울시 손주돌봄수당은 조부모님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, 부모님께는 안정적인 육아 환경을 제공하는 최고의 복지제도입니다.
✅ 서울 거주, 24~36개월 손주를 돌보는 조부모님이라면 꼭 신청하세요!
✅ 맞벌이, 한부모, 다자녀 가정도 신청 가능!
✅ 신청 기간: 매월 1~15일
맞벌이가 아니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?
네! 한부모 가정, 다자녀 가정도 신청 가능합니다.
지원금은 언제 지급되나요?
매월 1~15일 신청 → 말일까지 대상자 선정 → 익월 돌봄 시작 → 익익월 20일 지급
서울형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내용 및 대상, 신청 방법-최대 240만원
서울형키즈카페머니 20% 할인 이용 방법-서울 아이와 가볼만한 곳